UPDATED. 2024-04-16 16:51 (화)
우미건설 CSR... 희망재단, 조선 무기제조 관청 디지털 복원
상태바
우미건설 CSR... 희망재단, 조선 무기제조 관청 디지털 복원
  • 유근호 기자
  • 승인 2023.02.15 18: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스포츠Q(큐) 유근호 기자] 일제강점기에 완전히 철거된 조선의 무기제조 관청 군기시(軍器寺)를 디지털 기술로 다시 볼 수 있게 됐다. 우미건설이 팔을 걷어 붙였다. 

우미희망재단은 문화재청, 서울시, 제일기획과 함께 15일 서울시 시민청에서 조선 무기제조 관청 군기시 디지털 복원 및 문화유산 메타버스 공개 행사를 열고 디지털로 복원된 군기시를 공개했다.

군기시 디지털 복원은 ‘헤리버스(헤리티지+메타버스) 공존’이라는 이름의 메타버스 애플리케이션으로 개발, 디지털로 복원한 교육 콘텐츠를 언제 어디서나 체험할 수 있도록 한 점이 특징이다. 앱은 메타버스 플랫폼 기업 ‘애니펜’에서 개발했다. 군기시와 함께 2019년 디지털 복원에 성공한 한양도성 돈의문(서대문)도 체험 가능하다. 또한 자신만의 아바타를 만들어 군기시 유적전시실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군기시를 볼 수 있다. 앱은 현재 애플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 가능하며, 구글 플레이스토어에는 곧 출시 예정이다.

김왕직 명지대 교수(왼쪽부터), 이석준 우미희망재단 이사장, 김의승 서울시 행정1부시장, 이경훈 문화재청 차장, 경기대 이왕무 교수, 김종현 제일기획 대표이사, 이근호 충남대 교수. [사진=우미건설 제공]

서울시 신청사 지하 1층에 위치한 군기시 유적전시실에서 헤리티지 공존 앱을 실행하면 복원된 군기시 건물과 장인들이 무기를 제조하는 모습을 증강현실로 볼 수 있다. 또한 신기전, 대장군전 등의 화포 무기를 직접 발사해 볼 수도 있다. 유적전시실 내의 VR 체험존에서는 시간 여행을 통해 군기시의 역사를 소개해주는 ‘히스토리 VR’과 군기시에서 만든 무기들이 사용된 행주대첩(1593년)의 전투 현장을 경험해보는 ‘시네마틱 VR’을 감상할 수 있다.

군기시는 1392년(태조 1년) 설치된 중앙관청이다. 조선시대 군수물자에 대한 연구 및 보급‧관리를 담당했던 현재 방위사업청과 유사한 국가기관이었다. 1884년(고종 21년) 폐지된 후 일제강점기에 사라졌다가 2009년 서울시 신청사 건축 과정에서 관련 유물이 대량 발굴됐다. 현재는 옛 자리 일부를 서울시민청 군기시유적전시실로 운영하고 있다.

우미희망재단은 2021년 문화재청, 서울시, 제일기획과 문화유산 보호 및 융복합 문화관광교육콘텐츠 활성화 업무협약(MOU)을 맺고 본격적인 군기시 복원에 나섰다. 지난해 2월에는 군기시에 대해 종합적으로 연구·고찰하는 학술 포럼을 열고 포럼에서 논의된 다양한 연구내용을 군기시 복원의 기초자료로 활용했다.

1년 6개월의 복원 기간 동안 우미희망재단은 군기시 디지털 복원을 통한 교육 컨텐츠 개발 프로젝트에 필요한 종합적인 지원을 담당했고, 문화재청은 역사 고증 및 감수를, 서울시는 전시 공간과 운영 인력 지원, 제일기획은 메타버스 앱, AR/VR 콘텐츠 기획 등을 담당해 완성도를 높였다.

이석준 우미희망재단 이사장은 “군기시 프로젝트는 지난 2019년 돈의문을 디지털로 복원한 이후 조선시대 중앙 관청을 복원과 이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도 함께 개발한 첫 번째 사례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며 "유적전시실에 남은 돌과 기둥 터만 본다면 큰 감흥이 없을 수도 있지만 첨단 기법을 도입해 복원한 군기시를 통하면 보다 입체적으로 체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우미희망재단은 우미건설이 2006년 출연해 설립한 공익법인이다. 지난해 12월 민관협력사업으로 국가보훈처와 함께 전몰·순직군경의 미성년 자녀 지원을 위한 ‘히어로즈 패밀리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건설산업재해 피해 가정과 다문화 가정 아동·청소년을 위한 진로 프로그램인 ‘우미드림파인더’와 다문화가정 학습 교육·돌봄 지원사업 ‘우미 多Dream 多이룸(우.다.다)’를 운영 중이다.

도전과 열정, 위로와 영감 그리고 스포츠큐(Q)

주요기사
포토Q